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오늘도코드잇
- 코테
- 몬스긱
- JavaScript
- 기계식키보드
- GMK67
- M1W
- 추상적 자료형
- 자료구조
- solved.ac
- 스톡
- 시간복잡도
- ADT
- 코테준비
- 자바스크립트
- 코딩공부
- 삼성노트북
- 노트북SSD교체
- JS
- 브론즈
- 삼성노트북하판
- LinkedList
- 긱바
- 노트북램교체
- unityC#
- Unity
- 코드잇
- 어도비
- 백준
- 코드잇TIL
- Today
- Total
SKYLIGHT STUDIO
[헤놀로지] Aoostar WTR PRO N100 WOL 설정 본문
현재 사용하는 장치는 WTR PRO N100.
참고로 저전력 외에는 전부 라이젠 버전보다 밀린다...
하드 4베이 장착 가능.
멸망하기 전 티몬에서 구한 유산이다.
아무튼 현재는 Proxmox 위에 헤놀로지 + Tiny11을 올려두고 쓰고 있다.
성능은 그럭저럭...인듯.
마인크래프트나 팰월드 서버도 도커에 올려서 써봤는데 별로 성능에 하자는 없어보인다.
WOL 설정이 한국 웹 상에서는 보이지 않아 정리.
1. 바이오스 설정
DEL키를 연타하면 바이오스에 접근 가능.
여기서 Advanced -> ACPI 설정에서 Wake On Lan을 Enabled로.
2. Proxmox 설정
Proxmox는 내가 굴려본 적이 별로 없어서 좀 헤맸다.
해당 명령어로 일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중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지 체크한다.
2: enp2s0: <BROADCAST,MULTICAST,UP,LOWER_UP> ...
나 같은 경우는 enp2s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진행.
만약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DOWN이라면 그 인터페이스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중인 것이다.
ethtool enp2s0
이후 WOL을 지원하는지 체크해본다.
일단 혹시나 몰라서 해본 것.
요시. 문제 없이 지원한다.
sudo nano /etc/network/interfaces
텍스트 에디터로 파일을 열어서 관련 설정이 있는지 체크하고 없으면 다음 내용을 추가::
post-up ethtool -s enp2s0 wol g
이 내용은 iface enp2s0 inet manual 아래에 탭하고 붙여넣으면 된다.
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ing
파일을 저장한 뒤 네트워크를 재시작한 후 ethtool enp2s0에서 WOL : g라고 되어있으면 성공.
IPTIME 공유기를 사용중이라 그냥 공유기에 내장된 WOL로 쏠쏠히 써먹는 중.
참고로 MAC주소는 앞서 ip addr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